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한국은행에서 빅스텝(0.5% 금리인상)까지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내 예금, 적금의 금리를 확인해 본 후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이자를 계산해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그래서, 이자 계산기를 통해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자 계산기 사용법
이자 계산기를 사용할 때는 몇가지 고려해 주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1)나는 예금을 가입했는가? 적금을 가입했는가?
2)내 예치금의 이자는 단리로 계산되는가? 월복리로 계산되는가?
1), 2)번에 대하여 더 알아보기 원하신다면 아래를 클릭해 보시기 바랍니다.
3)내 예치금의 이자에 대한 과세는 일반과세인가? 비과세인가? 세금우대인가?
3)번에 대하여 더 알아보기 원하신다면 아래를 클릭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의 3가지 고려사항들을 토대로 예금 적금에 대한 이자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예금의 경우
계산기에서 남색 표시 부분은 선택을 해주어야 하는 부분이고 빨간색 표시 부분은 입력을 해주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일반과세 통장으로 1천만원을 2년간 연이율 4% 단리로 예치하였다면 아래와 같이 선택, 입력 후 '계산하기'를 눌러주면 됩니다.
이자 4% x 2년 = 8% 이고 이자에 대한 세금은 8% x 15.4% x 1천만원 = 123,200 원입니다.
적금의 경우
예금에서와 같이 남색 부분을 선택해 주고 빨간색 부분을 입력해 줍니다. 여기서 예금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예금은 '예치금액'인 반면 적금은 '월적립액'입니다. 예금은 1회 납부하고 이자 수익을 기다리는 것이고 적금은 월별로 적립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적금의 실례로, 비과세 통장에 매월 1백만원, 연이율 4%로, 월복리로 2년간 적립한다고 가정하고 계산기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비과세이기 때문에 세금이 0원이 나왔습니다. 또한 적금기간 선택 및 입력을 2년으로 하든지 24개월로 하든지 결과는 동일합니다.
주의점
세금우대통장의 경우 현재까지 정해진 기준으로는 이자 발생연도에 따라 우대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네이버 이자 계산기가 잘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세금우대통장은 이자 계산기 사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세금우대 통장의 우대세율 이슈에 관하여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이상 마칩니다.
'경제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최대 4%. 파킹통장과 CMA (금리) 비교 쉽게 알아보기 (0) | 2022.11.02 |
---|---|
발행어음형 CMA 와 발행어음 차이/정의/이자율 비교. (0) | 2022.10.27 |
CMA 쉽게 알아보기 (0) | 2022.10.26 |
예금과 적금 (예적금)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 및 절세 방법. (0) | 2022.10.25 |
예금과 적금(예적금)의 정의, 차이, 이자율 계산 방법을 모두 쉽게 알아보기 (0) | 2022.10.24 |
댓글